혁신행정부문 국토교통부장관상
공공건축 소개
사업명 | 당진시 통합 마을회관 표준모델, 마실방에서 매안거(梅安居)까지 이야기 |
기관명 | 충청남도 당진시 |
담당부서 | 주택과 |

추진배경
1
마을회관 역할 변화
농어촌의 초고령화로 마을회관 이용률 저하, 마을회관 역할 변화 필요
⇒ 마을회관 및 경로당은 마을의 주요거점시설로 지속가능한(친환경적) 통합 마을회관 계획 필요
2
필요성
· 노후 마을회관 증가와 경로당과 통합한 마을회관 건축 추세에 따른 보조금 지원기준 재검토 필요성 대두
- - 당진시 20년 이상 노후 마을회관 ⇒ 전체 마을회관의 49%(134개소)
- - 적은 공사비로 인해 초기 계획 부족 및 무분별한 증축으로 주변과 부조화한 건축물 초래
· 당진시 마을회관 보조금 지원기준(30년 이상 재건축, 10년 이상 증축 및 리모델링)
- - 순수 마을회관 : 연면적 100㎡이하, 1.5억이하
- - 경로당+마을회관 통합형 : 연면적 200㎡이하, 2.5억원이하
추진내용
1
민간전문가와 전국 최초 마을회관과 경로당을 통합한 당진형 통합 마을회관 표준모델
“마실방” 개발

· 이용인원에 따른 경로당 규모 검토
- - 3.0m x 3.0m 유닛의 조합으로 최소면적 S1타입(54㎡, 약 16.3평)부터 최대면적 S4타입(135㎡, 약 40.8평)까지 분류
- - 마을마다 필요한 타입 선택 가능

· 마을인구수에 따른 마을회관 규모 검토
- - 3.0m x 3.0m 유닛의 조합으로 최소면적 C1타입(54㎡, 약 16.3평)부터 최대면적 C4타입(135㎡, 약 40.8평)까지 분류
- - 마을마다 필요한 타입 선택 가능

2
당진형 통합마을회관 표준모델 첫 번째 적용사례 “매안거”신축
건축개요 : 매산2리마을회관, 충남 당진시 신평면 매산리 109-1, 제1종근린생활시설, 연면적 198㎡, 1층, 경량철판조
추진 성과
1
전국 최초 마을회관과 경로당을 통합한 마을회관 표준모델 개발로 마을회관 건축계획 가이드라인 마련
2
당진형 통합 마을회관 표준모델 최초 적용한 “매안거”신축으로 건축계획 가이드라인 뿐만아니라 실행성과물 도출
향후 계획
당진형 통합 마을회관 표준모델을 기본으로 마을 주변환경과 주민 요구에 부응하는 다양한 마을회관 건립